이성계가 조선 건국 후 계룡산 남쪽 신도안을 천도 후보지로 정해 1년여간 많은 사람들을 동원하여 궁궐공사를 위해 목재와 석재 등을 운반하다가 중단하였다. 중단 사유는 계룡산 신도안은 국토 남쪽에 치우치고 가까운 곳에 조운(漕運)과 용수(用水)가 불편하고 풍수상 舊 왕조 고려개경과 유사하여 신 왕조에 불리하다는 경기도 관찰사 하륜의 건의에 따라 중단하고 한양으로 신도읍지를 옮긴 것이다.
이때 대궐터 앞에 주춧돌로 쓰려고 가져다 놓은 주초석 115개가 남아 1976년 충청남도 지방문화재로 지정 ․ 보존되고 있다.
이성계가 조선 건국 후 계룡산 남쪽 신도안을 천도 후보지로 정해 1년여간 많은 사람들을 동원하여 궁궐공사를 위해 목재와 석재 등을 운반하다가 중단하였다. 중단 사유는 계룡산 신도안은 국토 남쪽에 치우치고 가까운 곳에 조운(漕運)과 용수(用水)가 불편하고 풍수상 舊 왕조 고려개경과 유사하여 신 왕조에 불리하다는 경기도 관찰사 하륜의 건의에 따라 중단하고 한양으로 신도읍지를 옮긴 것이다.
이때 대궐터 앞에 주춧돌로 쓰려고 가져다 놓은 주초석 115개가 남아 1976년 충청남도 지방문화재로 지정 ․ 보존되고 있다.
주초석 중 20여개는 바위에 흠집이 일렬로 나있어 쓰기 좋은 크기로 다듬어 가공하려고 하였던 것을 알 수 있는데 당시에는 정으로 바위에 구멍을 내고 마른 참나무 등을 그 곳에 꽂아 나무에 물을 부으면 물의 수축팽창 압력으로 바위를 다듬은 것으로 자연과학의 원리를 응용한 우리 선조들의 지혜로움을 엿볼 수 있다.
또한 부남리 백암동 계곡은 도읍지 공사 일환으로 하천을 정비한 천기석축(川基石築)이 발견되기도 하여 현재 도시 개발의 기반시설을 하듯 당시에도 상 ․ 하수시설 등 생활의 기본시설을 하였던 것을 추측해 볼 수가 있었다.
주초석
궁궐공사의 규모를 알 수 있는 흔적으로 신도안면 용동리에 당시 인부들이 짚신에 묻은 흙을 한곳에 털어 봉우리가 되었다는 『신털이봉』이 있으며, 이 곳 두마면 두계리의 지명은 팥두(豆)자와 관련된 곳인데 대궐공사 당시 인부들에게 팥죽을 쑤어 허기를 달랬다는 유래가 전해지고 지금도 해마다 팥거리축제가 이곳 주민들에 의해 전승 되고 있다.
주소 |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1-2 |
---|---|
기타사항 | ※ 군사보호구역으로써 출입 제한지역임 |
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
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농소리 17
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남선리 853-17
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용동리
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용동리
안내문 교열 발자취_2017~2021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 및 석재 외 1건 금산군청 금산 충렬사 외 16건 논산시청 갈산리 곰솔 외 43건 부여군청 관북리유적 외 24건 부여군청 홍산동헌 외 33건 부여군청 청마산성 외 8건 서천군청 마량리...
충남여행 청양 장곡사 금산 계산 이야기를 담은 가을여행지 충남여행 청양 장곡사 계산 주초석 금산 칠백의총 이야기를 담은 가을여행지 가을비가 내리고 난 후... 있어서 신도들이 소원을 빌러 많이 오기도 했고 화암사상에 의해 상하대웅전을 만들으며 고려시대 특징인...
충청남도 가볼만한 곳 계룡산신도내주초석석재,계룡사계고택, 무궁화학습원(괴목정),입암저수지, 두계은농재,향적산... #금산군 가볼만한곳 서대산,하늘물빛정원, 대둔산도립공원(금산),갑천, 대둔산자연휴양림,적벽강(금산)...
C74. 대한민국 수도권 · 강원도 · 충청도 시도 유형 문화재... 이연 신도비 / ○42호 구영릉 석물 / ○43호 연령군 이훤 신도비 / ●44호[해] 상봉동오층석탑 / ●45호[해] 상봉동석제태실신석 / ●46호[해] 상봉동석등(하대석) / ●47호[해] 상봉동전수덕사사리탑...
[땅끝마을에서 한양까지 다시 걷는 옛길] (10) 공주 계룡~정안 조헌과 함께 금산[錦山]전투에서 부상을 당한 뒤 옆 마을인 월암리로 피신했다 숨졌다. 묘는... [공주 이천열기자 ]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(鷄龍山新都內 株礎石石材) ■ 태조 이성계 금강변 신도안에 도읍...